-
영화 시장의 구조와 역사Movie/Q&A 2014. 3. 18. 21:22반응형
오늘은 영화 시장의 구조와 역사에 대해 가능한 짧게 서술해볼 것이다. 네이버 영화 무비 QnA 섹션 영화 배급의 세계를 참조했으니 자세한 내용을 원한다면 위의 링크를 따라가보는 것을 권한다.
시장구조
원칙적으로, 영화 시장은 크게 제작, 배급, 상영으로 이루어진다. 제작사에서 영화를 제작하면 배급사에서 영화관에 영화를 배급하고 상영관은 그것을 상영한다. 제작을 도매시장, 배급을 도매상, 상영을 소매시장으로 생각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중에서 산업적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배급이다. 영화의 개봉 시기, 개봉 규모, 개봉 지역 등을 모두 배급 단계에서 결정하기 때문에 가장 중요하다고 볼 수 있겠다.
역사
1940년대까지 미국 영화 시장은 제작, 배급, 상영이 합쳐진 수직 통합 체계가 허용됐다. 이는 메이저 영화사들은 자신들이 만든 영화를 자신들의 영화관에서 상영할 수 있다는 뜻이다. 메이저 영화사들은 영화를 대충 만들어도 수익이 나왔기 때문에 영화의 질은 나락까지 떨어졌고 작은 영화사들은 피해를 봤다.
1948년 뉴욕 법원은 이러한 행위를 불법으로 규정하고 메이저 영화사 중 하나인 파라마운트사에게 극장 체인을 해체하라고 명령했다. 이를 '파라마운트 판례'라고 하고 다른 영화사들도 이 판례에 의해 극장 체인을 정리되었고 지금까지 지켜지고 있다.
한국 시장구조
현재 한국 시장은 수직 통합 체계를 허용하고 있다. 제작와 배급을 담당하는 투자배급사라는 개념이 있고 이 투자배급사가 극장체인을 소유하는 구조다. 일례로 투자배급사 CJ E&M과 CGV는 CJ그룹 자회사이고 투자배급사 롯데엔터테인먼트와 롯데시네마는 롯데그룹 자회사이다. 메가박스도 투자배급사 쇼박스와 같은 기업 아래에 있었지만 최근 분리되었다.
이는 생각보다 굉장히 큰 문제이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마이너 투자배급사의 영화들의 질이 아무리 좋아도 상영되지 못할 위험이 있다. 이는 스크린쿼터 사태 때부터 제기되어온 문제이고 김기덕 감독이 10여년째 비판하고 있지만 고쳐지지 않고 있다.
반응형'Movie > Q&A'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리퀄이란? (2) 2014.03.11 각 시상식과 영화제의 특징 (0) 2014.03.03 IMAX란? (0) 2013.11.02 Dolby Atmos란? (메가박스 M2관의 관람료가 비싼이유는?) (0) 2013.10.27